창릉 신도시는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3기 신도시 중 한 곳이다.
2018년 12월에 발표된 남양주 왕숙 신도시(경기 동북부), 하남 교산 신도시(경기 남동부)에 이어 2019년 5월 부천 대장 신도시(경기 서남부)와 함께 발표되며, 창릉 신도시는 경기 서북부 신도시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.
이 글에서는 그런 창릉 신도시의 개발계획부터, 교통계획, 특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다.
창릉 신도시(지구) 개요.
창릉 신도시의 명칭, 위치 및 면적 등 사업개요
- 명칭 : 고양 창릉 공공주택지구
- 위치 :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, 동산동, 용두동, 향동동, 화전동, 도내동, 행신동, 화정동, 성사동 일원
- 면적 : (기정, 2021.06.29) 8,126,948㎡
→ (변경, 2021.11.30) 7,890,019㎡ (변경 사유 : 도로구역 및 국방부 관련 토지 제척, 도로 일부 편입 등) - 사업의 종류 : 「공공주택 특별법」 제2조에 따른 공공주택사업
- 공공주택사업자 : 경기도, 한국 토지주택공사, 경기 주택도시공사, 고양 도시관리공사
- 사업시행기간 : 2020년 3월 6일(지구지정 고시일) ~ 2029년 12월 31일
인구·주택 수용 계획
인구계획
- 83,290인(인구밀도 106인/ha)
- 2030년 고양 도시기본계획에서 설정한 2030년 가구당 인구수 적용(2.4/호), 행복주택은 가구당 인구 1.6인/호 적용
주택건설계획
- 37,889호
- 단독주택 1,189호, 연립주택 343호, 아파트 27,434호, 복합시설 8,923호
창릉 신도시(지구) 토지이용계획.
구분 | 면적(㎡) | 구성비(%) | ||
총계 | 7,890,019 | 100.0 | ||
주택 건설 용지 | 소계 | 1,819,237 | 23.1 | |
단독주택 | 323,596 | 4.1 | ||
공동주택 | 소계 | 1,409,749 | 17.9 | |
연립주택 | 39,975 | 0.5 | ||
아파트 | 1,369,774 | 17.4 | ||
근린생활시설 | 85,982 | 1.1 | ||
공공 시설 용지 | 소계 | 5,675.185 | 71.9 | |
상업 시설 | 소계 | 57,014 | 0.7 | |
상업시설 | 39,718 | 0.5 | ||
유통업무 | 17,296 | 0.2 | ||
복합 | 소계 | 211,405 | 2.7 | |
주상복합 | 139,202 | 1.8 | ||
공공복합 | 72,203 | 0.9 | ||
도시 지원 시설 | 소계 | 728,583 | 9.2 | |
중심복합 | 96,541 | 1.2 | ||
업무시설 | 266,963 | 3.4 | ||
자족시설 | 280,701 | 3.5 | ||
자족복합 | 69,772 | 0.9 | ||
문화복합 | 14,606 | 0.2 | ||
공원 녹지 | 소계 | 3,050,023 | 38.6 | |
공원 | 2,003,822 | 25.4 | ||
녹지 | 356,500 | 4.5 | ||
하천 | 689,701 | 8.7 | ||
기타 | 소계 | 1,628,160 | 20.7 | |
교육시설 | 249,420 | 3.2 | ||
광장 | 4,189 | 0.0 | ||
종교시설 | 15,745 | 0.2 | ||
주유소 | 5,980 | 0.1 | ||
자동차정류장 | 28,867 | 0.4 | ||
저류지 | (87,747) | (1.1) | ||
주차장 | 53,742 | 0.7 | ||
일반도로 | 1,155,372 | 14.6 | ||
보행자도로 | 36,714 | 0.5 | ||
전기공급설비 | 7,860 | 0.1 | ||
열공급설비 | 29,901 | 0.4 | ||
폐기물처리시설 | (16,194) | (0.2) | ||
하수처리장 | (24,207) | (0.3) | ||
수도시설 | 10,701 | 0.1 | ||
하수도시설 | 1,002 | 0.0 | ||
철도시설 | 7,147 | 0.1 | ||
군사시설 | 21,520 | 0.3 | ||
유보지 | 5.0 |
- 단독주택 : 필지형 539필지, 블록형 8개소
- 연립주택 : 1개소, 아파트 : 공동주택 16개소, 민간주택 17개소
- 근린생활시설 : 18개소
- 상업시설 : 4개소, 유통업무 : 1개소
- 주상복합 : 민간주택 6개소, 공공복합 : 공공주택 4개소
- 중심복합 : 6개소(민간주택 5개소), 업무시설 : 28개소, 자족시설 : 13개소, 자족복합 : 4개소, 문화복합 : 4개소
- 공원 : 근린공원 12, 어린이공원 2, 소공원 16, 문화공원 6, 수변공원 5, 체육공원 2, 농업공원 1
- 교육시설 : 유치원 7, 초등학교 7, 중학교 3, 고등학교 2, 특수학교 1, 덕은초(존치), 덕양중(존치)
- 주유소 : 4개소
- 열공급설비 : 1개소, 폐기물 처리시설·하수처리장·수도시설·하수도시설 : 각 1개소
창릉 신도시(지구) 교통 계획
창릉 신도시의 광역교통에 있어 가장 큰 축은 누가 뭐래도 창릉역이라 할 것이다.
2020년 12월 광역교통개선대책 중 하나인 창릉역은 GTX-A노선역으로써 창릉역과 서울역 간 이동시간을 10분으로 단축시켜준다.
이 외에 창릉 신도시 남측에 위치한 ‘경의·중앙선 향동역’, 고양시에서 신설 예정인 ‘고양선(역은 미정, 창릉 신도시 내 3개~4개 역 신설 예정)’ 등 철도교통이 추가될 예정이고, BRT 환승 체계를 확충할 예정이다.
창릉 신도시(지구) 특화계획구역
창릉 신도시에는 특화계획권역이 있다.
창릉천을 중심으로 넓게 설정된 이 권역은 창릉 신도시를 단순한 공공주택지구가 아닌 특색 있고, 테마가 있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 지정한 것인데 이름하여 중심복합지구 특화계획권역, 자족중심지구 특화계획권역, 서오릉 문화축 특화계획권역, 생활권 특화계획권역, 망월산 주거특화계획권역이 그것이다.
각 특화계획권역에 대해서는 이 글이 아닌 관련 깊은 용지를 알아볼 때, 다루도록 하겠다.
- 중심복합지구 특화계획권역 : 업무용지 및 중심복합용지
- 자족중심지구 특화계획권역 : 자족용지
- 서오릉 문화축 특화계획권역 : 단독주택용지
- 생활권 특화계획권역 : 공동주택용지
- 망월산 주거특화계획권역 : 공동주택용지
청약일정
창릉 신도시의 청약일정은 공동주택용지와 관련이 깊은 만큼 공동주택용지에서 다뤄보도록 하겠다.
▶창릉신도시, 아파트 공동주택용지 정보 및 특징 (← 클릭)